SAT English/Grade 3rd

2015년 대입수능영어 32번 문제 분석.

STEADY ENGLISH 2014. 12. 24. 22:10
반응형

32. My friend was disappointed /that scientific progress has not cured the world's ills

과학적 진보, 과학의 발달

 

by abolishing wars and starvation;

by ~ing 함으로써 abolish:(관리제도)폐지하다, 철폐하다, 완전히 파괴하다. (전쟁을) 없애다 

in ~ing: ~할 때 on ~ing:  ~하자마자

 

/that gross human inequality is still widespread;

      gross: (잘못부정 따위가) 큰, 엄청난 inquality 불평등

 

 

/that happiness is not universal.

universal: 보편적인 

 

*My friend ~ universal  : S + V that s v o; 

                                           that s v; 

                                           that s v.

 

 

My friend made a common mistake

 

 

― a basic misunderstanding /in the nature of knowledge. Knowledge is amoral

              오해, 착오                  지식의 본질                         amoral a. 도덕과는 관계없는

 

 

not immoral but morality neutral. It can be used for any purpose,

즉, 부도덕한 것이 아니라 도덕 중립성이다. immoral a. 비도덕적인, 부도덕한 not A but B: A가 아니라 B이다.

 

 

but many people assume (that) it will be used to further their favorite hopes for society 

                       that 이하라고 가정하다        to+V,    further v. 진전시키다, 촉진하다 조장하다.

 

― and this is the fundamental flaw. Knowledge of the world is one thing;

                     기본적인 결함(=착오, 실수)

 

its uses /create/ a separate issue.

             별개의 문제, 관련없는 문제 separate a. [주로 명사 앞에 씀] 서로 다른, 별개의, 관련 없는

A one thing B another(=A onething B a separate issue) A와 B는 별개이다. 

 

 

 

To be disappointed/ (that our progress in understanding has not remedied the social

             S                                                         =cured                       remedy v.고치다, 치료하다. 

ills of the world)/ is a legitimate view,

                        V 타당한 견해, 옳은 견해 legitimate a. 타당한, 옳은, 합법적인

 

but [to confuse this with the progress of knowledge is absurd.]

       confuse A with B : A와 B를 혼동하다.  absurd a. 터무니없는

 

 

To argue (that knowledge is not progressing because of the African or Middle Eastern

    S

conflicts) /misses/ the point.  

                  V

-> 지식과 지식발전은 도덕과 무관하여 세상문제를 해결해야할 도덕적 가치관이 없기에 지식과 지식적용은 별개의 문제이므로 아프리카 및 중동 갈등을 지식에다 결부시켜 논하는 것은, 혼동하는 것은 논점을 벗어난 것이다, 터무니 없는 것이다. 

                    

miss the point : 핵심에서 벗어나다; 포인트, 목적, 또는 의도를 잘못 이해하다


 

 

There is nothing /inherent /in knowledge (that dictates any specific social or moral

           선행사                             주‧관대 V

application.)

inherent a. 내재하는, 내재적인

dictate vt. …을 좌우하다, …에 영향을 주다 specific a. 명확한, 구체적인, 상세한 application n. 적용

 

-thing 대명사 + 형용사

 

 

*결론*

지식과 지식발전은 도덕과 도덕가치관과 무관하며 지식과 지식의 적용 및 사용은 별개이며 그러므로 지식은 세상의 문제( war, starvation, conflicts, etc.)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해결해주지 않으며 해결하는 것과 별개의 문제이다. 

------------------------------------------------------

 

① to confuse this with the progress of knowledge is absurd (0)

 

 

② to know the nature of knowledge is to practice its moral value (X)

     지식의 본질을 아는 것이 도덕적 가치관을 실행하는 것이다. 

     -> 지식은 도덕과 무관하다. 

 

to remove social inequality is the inherent purpose of knowledge (X)

     사회적 불평등을 제거하는 것은 지식의 내재적인 목적이다.

     -> 지식에는 사회 문제 세상 문제를 해결 할 내재적인 고유한 것은 없다

 

④ to accumulate knowledge is to enhance its social application (X)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지식의 사회적 적용을 강화하는 것이다.

     -> 지식과 지식사용,적용은 별개의 문제, 관계없는 문제이다.

 

⑤ to make science progress is to make it cure social ills (X)

     과학을 발달시키는 것이 사회적 문제를 해결, 치료해주는 것이다. 

     -> 지식은 도덕과 무관하며 그 적용또한 별개의 문제이므로 사회적문제 세상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