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대부분의 사람들이 글을 쓰려고 할 때 그들에게 어떤 생각이 밀려온다.
Something comes over most people when they start writing.
그들은 친구들에게 이야기할 경우에 사용할 법한 말과는 다른 언어로 글을 쓴다.
They write in a language different from the one they would use if they were talking to a friend.
하지만, 만약 사람들이 당신이 쓴 것을 읽고 이해하기를 원한다면, 구어체로 글을 써라.
If, however, you want people to read and understand what you write, write it in spoken language.
문어체는 더 복잡한데 이것은 읽는 것을 더욱 수고롭게 만든다.
Written language is more complex, which makes it more work to read.
또한, 형식적이고 거리감이 들게 하여 독자로 하여금 주의를 잃게 만든다.
It's also more formal and distant, which makes the readers lose attention.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복잡한 문장이 필요하지는 않다.
You don't need complex sentences to express ideas.
심지어, 어떤 복잡한 분야의 전문가들조차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때, 그들이 점심으로 무엇을 먹을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것보다 복잡한 문장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Even when specialists in some complicated field express their ideas, they don't use sentences any more complex than they do when talking about what to have for lunch.
만약 당신이 구어체로 어떻게든 글을 쓰게 된다면, 당신은 작가로서 좋은 출발을 하는 것이다.
If you simply manage to write in spoken language, you have a good start as a writer.
---------------------------------------------------------------------------------------------------------
2번.
너무도 많은 회사들이 마치 경쟁자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신제품들을 광고한다.
Too many companies advertise their new products as if their competitors did not exist.
그들은 (비교 대상이 없는) 공백의 상황에서 광고하고 나서 자신들의 메시지가 도달하지 못할 때 실망한다.
They advertise their products in a vacuum and are disappointed when their messages fail to get through.
특히 이전 것과 대조되지 않는다면 새로운 제품 범주를 도입하는 것은 어렵다.
Introducing a new product category is difficult, especially if the new category is not contrasted against the old one.
새롭고 특이한 것이 예전의 것과 연결되지 않는다면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관심을 주지 않는다.
Consumers do not usually pay attention to what's new and different unless it's related to the old.
그래서 당신에게 정말로 새로운 제품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보다는 무엇이 아닌지를 말하는 것이 대체로 더 좋다.
That's why if you have a truly new product, it's often better to say what the product is not, rather than what it is.
예를 들어 최초의 자동차는 ‘말이 없는’ 마차라고 불렸으며, 이 명칭은 대중이 기존의 수송 방식과 대조하여 그 개념을 이해하도록 해주었다.
For example, the first automobile was called a "horseless" carriage, a name which allowed the public to understand the concept against the existing mode of transportation.
---------------------------------------------------------------------------------------------------------
3번.
인간은 대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려는 타고난 욕구에 의해 움직인다.
Human beings are driven by a natural desire to form and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은 근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타인과의 관계를 추구하며, 이 욕구는 일생에 걸쳐 많은 감정, 행동, 그리고 결정들의 기초가 된다.
From this perspective, people seek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fill a fundamental need, and this need underlies many emotions, actions, and decisions throughout life.
아마도, 소속되려는 욕구는 사회적 종으로서의 인간 진화 역사의 산물이다.
Probably, the need to belong is a product of human beings' evolutionary history as a social species.
인간은 식량의 공급, 포식자로부터의 보호, 그리고 필수적인 지식의 습득을 위해 타인들의 협력에 오랫동안 의존해 왔다.
Human beings have long depended on the cooperation of others for the supply of food, protection from predators, and the acquisition of essential knowledge.
사회적 유대의 형성과 유지가 없었다면, 초기 인간들은 아마도 그들의 물리적 환경에 대처하거나 적응하지 못했을 것이다.
Without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social bonds, early human beings probably would not have been able to cope with or adapt to their physical environments.
따라서 친밀함과 의미 있는 관계를 추구하는 것은 오랫동안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이었다.
Thus, seeking closeness and meaningful relationships has long been vital for human survival.
---------------------------------------------------------------------------------------------------------
4번.
포유류는 다른 동물군에 비해 색이 덜 화려한 경향이 있지만 얼룩말은 두드러지게 흑백의 모습을 하고 있다.
Mammals tend to be less colorful than other animal groups, but zebras are strikingly dressed in blackandwhite.
이렇게 대비가 큰 무늬가 무슨 목적을 수행할까? 색의 역할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다.
What purpose do such high contrast patterns serve? The colors' roles aren't always obvious.
줄무늬를 지님으로써 얼룩말이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 질문은 과학자들을 1세기가 넘도록 곤혹스럽게 했다.
The question of what zebras can gain from having stripes has puzzled scientists for more than a century.
이 신비를 풀기 위해, 야생 생물학자 Tim Caro는 탄자니아에서 얼룩말을 연구하면서 10년 이상을 보냈다.
To try to solve this mystery, wildlife biologist Tim Caro spent more than a decade studying zebras in Tanzania.
그는 답을 찾기 전에 이론을 하나씩 하나씩 배제해 나갔다. 줄무늬는 얼룩말들을 시원하게 유지시켜 주지도 않았고, 포식자들을 혼란스럽게 하지도 않았다.
He ruled out theory after theory―stripes don't keep them cool, stripes don't confuse predators―before finding an answer.
2013년에 그는 얼룩말의 가죽으로 덮인 파리 덫을 설치했고, 이에 대비하여 영양의 가죽으로 덮인 다른 덫들도 준비했다.
In 2013, he set up fly traps covered in zebra skin and, for comparison, others covered in antelope skin.
그는 파리가 줄무늬 위에 앉는 것을 피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He saw that flies seemed to avoid landing on the stripes.
더 많은 연구 후에, 그는 줄무늬가 질병을 옮기는 곤충으로부터 얼룩말을 말 그대로 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After more research, he concluded that stripes can literally save zebras from diseasecarrying insects.
---------------------------------------------------------------------------------------------------------
5번.
사람들은 삶이 나아질수록 더 높은 기대감을 지닌다.
People have higher expectations as their lives get better.
하지만 기대감이 더 높아질수록 만족감을 느끼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However, the higher the expectations, the more difficult it is to be satisfied.
우리들은 기대감을 통제함으로써 삶에서 느끼는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We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we feel in our lives by controlling our expectations.
적절한 기대감은 많은 경험들을 즐거운 놀라움이 되도록 하는 여지를 남긴다.
Adequate expectations leave room for many experiences to be pleasant surprises.
문제는 적절한 기대감을 가지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The challenge is to find a way to have proper expectations.
이것을 위한 한 방법은 멋진 경험들을 드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One way to do this is by keeping wonderful experiences rare.
당신이 무엇이든 살 여유가 있더라도, 특별한 경우를 위해 훌륭한 와인을 아껴두어라.
No matter what you can afford, save great wine for special occasions.
품위 있는 실크 블라우스를 특별한 즐거움이 되게 하라.
Make an elegantly styled silk blouse a special treat.
이것은 당신의 욕구를 억제하는 행동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내 생각은 그렇지 않다.
This may seem like an act of denying your desires, but I don't think it is.
반대로, 그것은 당신이 즐거움을 계속해서 경험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는 방법이다.
On the contrary, it's a way to make sure that you can continue to experience pleasure.
멋진 와인과 멋진 블라우스가 당신을 기분 좋게 만들지 못한다면 무슨 의미가(소용이) 있겠는가?
What's the point of great wines and great blouses if they don't make you feel great?
---------------------------------------------------------------------------------------------------------
6번.
동기 부여의 한 가지 결과는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하는 행동이다.
One outcome of motivation is behavior that takes considerable effort.
예를 들면, 만약 좋은 차를 사고자 하는 동기가 있다면, 당신은 온라인으로 차들을 검색하고, 광고를 자세히 보며, 자동차 대리점들을 방문하는 것 등을 할 것이다.
For example, if you are motivated to buy a good car, you will research vehicles online, look at ads, visit dealerships, and so on.
마찬가지로, 몸무게를 줄이고자 하는 동기가 있다면, 당신은 저지방 식품을 사고, 더 적은 1인분의 양을 먹으며, 운동을 할 것이다.
Likewise, if you are motivated to lose weight, you will buy lowfat foods, eat smaller portions, and exercise.
동기 부여는 목표를 더 가까이 가져 오는 최종 행동을 이끌 뿐만 아니라, 준비 행동에 시간과 에너지를 쓸 의지를 만들기도 한다.
Motivation not only drives the final behaviors that bring a goal closer but also creates willingness to expend time and energy on preparatory behaviors.
따라서 새 스마트폰을 사고자 하는 동기가 있는 사람은 그것을 위해 추가적인 돈을 벌고, 가게에 가기 위해 폭풍 속을 운전하며, 그것을 사려고 줄을 서서 기다릴지도 모른다.
Thus, someone motivated to buy a new smartphone may earn extra money for it, drive through a storm to reach the store, and then wait in line to buy it.
---------------------------------------------------------------------------------------------------------
7번.
좋은 관리자들은 과업을 맡길 때의 처음의 불안감을 극복하는 것을 배워왔다.
Good managers have learned to overcome the initial feelings of anxiety when assigning tasks.
그들은 어떤 두 사람도 정확히 똑같은 방식으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고, 한 직원이 다른 사람과 다르게 과업을 시작하는 것을 보더라도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They are aware that no two people act in exactly the same way and so do not feel threatened if they see one employee going about a task differently than another.
대신에, 그들은 최종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
Instead, they focus on the end result.
만약 어떤 업무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면, 사람들이 조직에 수용될 만한 방식으로 일을 하는 한(예를 들자면, 판매원들이 회사의 윤리적 판매 정책을 준수하는 한) 그것은 괜찮다.
If a job was successfully done, as long as people are working in a manner acceptable to the organization (for example, as long as salespeople are keeping to the company's ethical selling policy), then that's fine.
만약 수용할 만한 최종 결과가 성취되지 않았다면, 그러한 관리자들은 그 직원과 논의하고 상황을 분석하며 대응하여, 그 사람이 미래에 그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어떤 훈련이나 추가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아낸다.
If an acceptable final outcome wasn't achieved, then such managers respond by discussing it with the employee and analyzing the situation, to find out what training or additional skills that person will need to do the task successfully in the future.
---------------------------------------------------------------------------------------------------------
8번.
유기적 발달에서, 지각은 두드러진 구조적 특징의 파악에서 시작된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
There is good evidence that in organic development, perception starts with recognizing outstanding structural features.
예를 들어, 2살 어린이와 침팬지가 그들에게 주어지는 2개의 상자 중 특정 크기와 모양의 삼각형이 있는 상자가 항상 맛있어 보이는 음식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다른 모양의 삼각형에도 그들의 훈련을 적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었다.
For example, when twoyearold children and chimpanzees had learned that, of two boxes presented to them, the one with a triangle of a particular size and shape always contained attractive food, they had no difficulty applying their training to triangles of very different appearance.
삼각형은 더 작아지거나 커지거나 뒤집혔다.
The triangles were made smaller or larger or turned upside down.
흰색 바탕의 검은 색 삼각형은 검은 바탕의 흰색 삼각형으로, 또는 외곽선이 있는 삼각형은 단색의 것으로 대체되었다.
A black triangle on a white background was replaced by a white triangle on a black background, or an outlined triangle by a solid one.
이런 변화는 인식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유사한 결과가 쥐에서도 얻어졌다.
These changes seemed not to interfere with recognition.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with rats.
심리학자인 Karl Lashley는 이런 유형의 단순한 치환이 인간을 포함하여 모든 동물에게 보편적이라고 주장했다.
Karl Lashley, a psychologist, has asserted that simple transpositions of this type are universal in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
9번.
고장 난 보일러를 고치기 위해 애쓰는 한 남자와 관련된 매우 오래된 이야기가 있다.
There is a very old story involving a man trying to fix his broken boiler.
수개월에 걸친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는 고칠 수 없다.
Despite his best efforts over many months, he can't do it.
결국, 그는 포기하고 전문가를 부르기로 결심한다.
Eventually, he gives up and decides to call in an expert.
기사가 도착하여 보일러의 옆을 한 번 가볍게 두드리자 보일러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The engineer arrives, gives one gentle tap on the side of the boiler, and it springs to life.
기사는 남자에게 청구서를 주고, 남자는 기사가 그 일을 하는 데 약간의 시간만 걸렸기 때문에 요금을 적게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engineer gives a bill to the man, and the man argues that he should pay only a small fee as the job took the engineer only a few moments.
기사는 자신이 보일러를 두드리는 데 걸린 시간이 아니라, 오히려 정확히 어디를 두드려야 할지를 아는 것과 관련된 수년의 경험에 대해 남자가 돈을 지불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The engineer explains that the man is not paying for the time he took to tap the boiler but rather the years of experience involved in knowing exactly where to tap.
전문 기사가 보일러를 두드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효과적인 변화는 많은 시간이 걸릴 필요는 없다.
Just like the expert engineer tapping the boiler, effective change does not have to be timeconsuming.
사실, 대체로 그것은 단지 정확히 어디를 두드려야 할지를 아는 것의 문제이다.
In fact, it is often simply a question of knowing exactly where to tap.
---------------------------------------------------------------------------------------------------------
10번.
대인 관계에서의 메시지에는 내용 차원과 관계 차원이 결합되어 있다.
Interpersonal messages combine content and relationship dimensions.
즉, 그것들은 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외부적인 어떤 것인, 실제 세계를 지칭한다. 동시에 당사자들 사이의 관계를 지칭하기도 한다.
That is, they refer to the real world, to something external to both speaker and listener; at the same time they also refe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es.
예를 들어, 한 관리자가 한 수습 직원에게 “회의 후에 저 좀 봅시다.”라고 말할 수 있다.
For example, a supervisor may say to a trainee, "See me after the meeting."
이 간단한 메시지는 수습 직원이 회의 후에 관리자를 만나야 한다는 것을 전달하는 내용 메시지를 담고 있다.
This simple message has a content message that tells the trainee to see the supervisor after the meeting.
그것은 또한 관리자와 수습 직원 사이의 관계에 대해 무언가를 말해 주는 관계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다.
It also contains a relationship message that says something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pervisor and the trainee.
이 간단한 명령의 사용도 관리자가 그 수습 직원에게 명령할 수 있게 하는 지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Even the use of the simple command shows there is a status difference that allows the supervisor to command the trainee.
만약 수습 직원이 관리자에게 같은 명령을 내린다고 상상해 본다면 당신은 이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You can appreciate this most clearly if you visualize the same command being made by the trainee to the supervisor.
관리자와 수습 직원 사이의 일반적인 관계를 위반하기 때문에 그것은 어색하고 상황에 맞지 않아 보인다.
It appears awkward and out of place, because it violates the normal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trainee.
---------------------------------------------------------------------------------------------------------
11번.
색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과학적 연구는 Isaac Newton에게로 거슬러 갈 수 있다.
The scientific study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lors can be traced back to Isaac Newton.
어느 날, 그는 큰 장터에서 프리즘 한 세트를 발견했다.
One day, he spotted a set of prisms at a big county fair.
그는 그것들을 집으로 가져와서 실험하기 시작했다.
He took them home and began to experiment with them.
그는 암실에서 가느다란 태양광 한 줄기가 삼각 유리 프리즘 위에 떨어지게 하였다.
In a darkened room he allowed a thin ray of sunlight to fall on a triangular glass prism.
그 백색광은 프리즘에 부딪치자마자 친숙한 무지개 색으로 분리되었다.
As soon as the white ray hit the prism, it separated into the familiar colors of the rainbow.
사람들은 태초 이래로 무지개를 관찰해 왔기 때문에, 이 발견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This finding was not new, as humans had observed the rainbow since the beginning of time.
Newton이 새로운 것을 발견한 것은 스펙트럼의 경로에 두 번째 프리즘을 놓았을 때였다.
It was only when Newton placed a second prism in the path of the spectrum that he found something new.
합성된 색은 흰 빛줄기를 만들어냈다.
The composite colors produced a white beam.
그래서 그는 스펙트럼 색을 혼합함으로써 백색광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Thus he concluded that white light can be produced by combining the spectral colors.
---------------------------------------------------------------------------------------------------------
12번.
내가 아주 어렸을 때, 공룡과 용의 차이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When I was very young, I had a difficulty telling the difference between dinosaurs and dragons.
그러나 그들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용은 그리스 신화, 영국 Arthur왕의 전설, 중국의 새해 행렬, 그리고 인류 역사에 걸친 많은 이야기에 등장한다.
Dragons appear in Greek myths, legends about England's King Arthur, Chinese New Year parades, and in many tales throughout human history.
그러나 비록 그들이 오늘날 만들어진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도, 항상 인간 상상의 산물이었으며 결코 존재하지 않았다.
But even if they feature in stories created today, they have always been the products of the human imagination and never existed.
그러나 공룡은 한때 실제로 살았다. 비록 인간이 그들을 보지는 못했지만, 그들은 오랫동안 지구에 살았다.
Dinosaurs, however, did once live. They walked the earth for a very long time, even if human beings never saw them.
그들은 2억 년 쯤 전에 존재했고 그 뼈가 화석으로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에 대해 알고 있다.
They existed around 200 million years ago, and we know about them because their bones have been preserved as fossils.
---------------------------------------------------------------------------------------------------------
13번.
학교 도서관에서 소리에 대한 염려는 과거보다 오늘날 훨씬 더 중요하고 복잡하다.
Acoustic concerns in school libraries are much more important and complex today than they were in the past.
오래 전, 전자 장비들이 도서관 환경의 아주 중요한 일부가 되기 전에는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소음을 처리하기만 하면 되었다.
Years ago, before electronic resources were such a vital part of the library environment, we had only to deal with noise produced by people.
오늘날에는, 컴퓨터, 프린터 그리고 다른 장비들의 폭넓은 사용이 기계 소음을 더했다.
Today, the widespread use of computers, printers, and other equipment has added machine noise.
집단 활동과 교사의 설명이 학습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사람의 소음도 또한 증가했다.
People noise has also increased, because group work and instruction are essential parts of the learning process.
그래서 현대의 학교 도서관은 더는 예전처럼 조용한 구역이 아니다.
So, the modern school library is no longer the quiet zone it once was.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조용한 학습 환경을 원하기 때문에, 도서관은 공부와 독서를 위해 여전히 조용함을 제공해야 한다.
Yet libraries must still provide quietness for study and reading, because many of our students want a quiet study environment.
도서관 환경에 대한 이러한 요구를 고려해 볼 때, 원치 않는 소음이 제거되거나 적어도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Considering this need for library surroundings, it is important to design spaces where unwanted noise can be eliminated or at least kept to a minimum.
---------------------------------------------------------------------------------------------------------
14번.
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많은 산림 식물 중에서 야생 버섯은 가장 위험한 것들 중의 하나이다.
Of the many forest plants that can cause poisoning, wild mushrooms may be among the most dangerous.
이는 사람들이 종종 독성이 있는 품종과 먹을 수 있는 품종을 혼동하거나 혹은 품종에 대해 확실한 확인을 하지 않고 버섯을 먹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people sometimes confuse the poisonous and edible varieties, or they eat mushrooms without making a positive identification of the variety.
야생 버섯 종들이 훌륭한 식용 버섯이고 매우 귀하게 여겨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봄에 야생 버섯 종을 찾아다니는 것을 즐긴다.
Many people enjoy hunting wild species of mushrooms in the spring season, because they are excellent edible mushrooms and are highly prized.
그러나 몇몇 야생 버섯은 위험해서 그 독성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목숨을 잃게 한다.
However, some wild mushrooms are dangerous, leading people to lose their lives due to mushroom poisoning.
안전을 위해서 사람들은 야생 버섯을 먹기 전에 식용 버섯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To be safe, a person must be able to identify edible mushrooms before eating any wild one.
---------------------------------------------------------------------------------------------------------
15번.
최근의 연구는 다른 사람들과의 건강한 관계를 위한 따뜻한 신체적 접촉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Recent studies point to the importance of warm physical contact for healthy relationships with others.
한 연구에서는 잠시 따뜻한 커피가 든 컵을 들고 있던 참가자들이 (차가운 커피에 비해) 상대방을 ‘더 따뜻한’ 성격(관대하고 친절한)을 지닌 것으로 판단했고, 다른 연구에서는 뜨거운 팩을 들고 있는 참가자들이 (차가운 팩에 비해) 자신들을 위한 어떤 것 대신 친구들을 위한 선물을 고르는 경향이 있었다.
In one study, participants who briefly held a cup of hot (versus iced) coffee judged a target person as having a "warmer" personality (generous, caring); in another study, participants holding a hot (versus cold) pack were more likely to choose a gift for a friend instead of something for themselves.
이러한 발견들은 단지 신체적인 따뜻함의 접촉 경험이 대인간의 따뜻한 감정을 활성화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These findings illustrate that mere contact experiences of physical warmth activate feelings of interpersonal warmth.
게다가, 이렇게 일시적으로 증가된 대인간의 따뜻한 감정의 활성화는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
Moreover, this temporarily increased activation of interpersonal warmth feelings then influences judgments toward other people in an unintentional manner.
한 상황에서 활성화된 그러한 감정들은 그 이후로 한동안 지속되며, 그 사람이 인식하지 못한 채 이후의 상황에서 판단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Such feelings activated in one context last for a while thereafter and have influence on judgment and behavior in later contexts without the person's awareness.
신체적 따뜻함을 경험하는 것은 대인간의 따뜻함을 증진시키며 이는 자동적인 방식으로 발생한다.
Experiencing physical warmth promotes interpersonal warmth, which happens in an automatic way.
---------------------------------------------------------------------------------------------------------
16번.
당신은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행동을 바꾸려고 하고 있을 때 어떻게 그들을 격려하는가?
How do you encourage other people when they are changing their behavior?
다이어트 중이며 몸무게가 많이 줄고 있는 한 친구를 당신이 만난다고 가정해 보자.
Suppose you see a friend who is on a diet and has been losing a lot of weight.
그녀가 멋져 보이고 기분이 정말 좋겠다고 그녀에게 말하고 싶을 것이다.
It’s tempting to tell her that she looks great and she must feel wonderful.
누구든 긍정적인 말을 듣는 것은 기분이 좋고 이런 피드백은 종종 고무적일 것이다.
It feels good for someone to hear positive comments, and this feedback will often be encouraging.
그러나 만약 당신이 거기서 대화를 끝낸다면, 당신의 친구가 받게 되는 유일한 피드백은 결과를 향한 그녀의 진전에 대한 것뿐이다.
However, if you end the discussion there, then the only feedback your friend is getting is about her progress toward an outcome.
대신, 그 대화를 계속해라. 그녀의 성공을 가능케 한 어떤 것을 하고 있는지 물어라.
Instead, continue the discussion. Ask about what she is doing that has allowed her to be successful.
그녀가 무엇을 먹고 있는가? 그녀가 어디서 운동을 하고 있는가?
What is she eating? Where is she working out?
그녀가 만들어 낸 생활양식의 변화는 무엇인가?
What are the lifestyle changes she has made?
그 대화가 결과보다 변화의 과정에 초점을 맞출 때, 그것은 지속 가능한 과정을 만들어 내는 가치를 강화시킨다.
When the conversation focuses on the process of change rather than the outcome, it reinforces the value of creating a sustainable process.
---------------------------------------------------------------------------------------------------------
17번.
당신의 아이의 지능과 재능을 칭찬하는 것은 그의 자존감을 높이고 그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It might seem that praising your child’s intelligence or talent would boost his selfesteem and motivate him.
그러나 이런 종류의 칭찬은 역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진다.
But it turns out that this sort of praise backfires.
Carol Dweck과 그녀의 동료들은 일련의 실험적 연구들에서 그 효과를 보여주었다: “우리가 그들의 능력에 대해 아이들을 칭찬할 때, 아이들은 더 조심하게 된다. 그들은 도전을 피한다.”
Carol Dweck and her colleague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 in a series of experimental studies: “When we praise kids for their ability, kids become more cautious. They avoid challenges.”
그것은 마치 그들이 자신들을 실패하게 만들고 당신의 높은 평가를 잃게 할지도 모를 어떤 것을 하길 두려워하는 것과 같다.
It’s as if they are afraid to do anything that might make them fail and lose your high appraisal.
아이들은 또한 지능이나 재능이 사람들이 가지거나 가지지 못하는 어떤 것이라는 메시지를 받을지도 모른다.
Kids might also get the message that intelligence or talent is something that people either have or don’t have.
이것은 아이들이 실수했을 때 무기력하게 느끼도록 만든다.
This leaves kids feeling helpless when they make mistakes.
만약 당신의 실수가 당신이 지능이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향상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무슨 소용이겠는가?
What’s the point of trying to improve if your mistakes indicate that you lack intelligence?
---------------------------------------------------------------------------------------------------------
18번.
패스트 패션은 매우 낮은 가격에 가능한 빨리 디자인되고, 만들어지고, 소비자에게 팔리는 유행 의류를 의미한다.
Fast fashion refers to trendy clothes designed, created, and sold to consumers as quickly as possible at extremely low prices.
패스트 패션 상품은 계산대에서 당신에게 많은 비용을 들게 하지 않을지는 모르지만, 그러나 그것들은 심각한 대가를 수반한다: 일부는 아직 어린 아이들인, 수천만의 개발도상국 사람들이 흔히 그것들을 만들기 위해 노동착취공장이라고 이름 붙여진 종류의 공장에서 오랜 시간 동안 위험한 환경에서 일한다.
Fast fashion items may not cost you much at the cash register, but they come with a serious price: tens of millions of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some just children, work long hours in dangerous conditions to make them, in the kinds of factories often labeled sweatshops.
대부분의 의류 작업자들은 간신히 생존할 정도의 임금을 받는다.
Most garment workers are paid barely enough to survive.
패스트 패션은 또한 환경을 훼손한다.
Fast fashion also hurts the environment.
의류는 유해한 화학 물질을 이용해 제작되고 전 세계로 운반되는데, 이것은 석유산업 다음으로 의류산업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오염원으로 만든다.
Garments are manufactured using toxic chemicals and then transported around the globe, making the fashion industry the world’s secondlargest polluter, after the oil industry.
그리고 버려진 의류 수백만 톤이 매년 매립지에 쌓인다.
And millions of tons of discarded clothing piles up in landfills each year.
---------------------------------------------------------------------------------------------------------
19번.
만약 여러분이 자신을 감기와 독감으로부터 보호하고 싶다면, 규칙적인 운동이 최고의 면역력 촉진제가 될 것이다.
If you want to protect yourself from colds and flu, regular exercise may be the ultimate immunitybooster.
연구는 적당한 에어로빅 운동이 여러분이 호흡기 감염과 다른 흔한 겨울 질병에 걸릴 위험을 반감시켜주는 것 그 이상을 해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여러분이 아플 때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Studies have shown that moderate aerobic exercise can more than halve your risk for respiratory infections and other common winter diseases. But when you feel sick, the story changes.
Human Performance Lab의 관리자인 David Nieman은 “운동은 예방에는 좋지만, 치료에는 나쁘다.”라고 말한다.
“Exercise is great for prevention, but it can be lousy for therapy,” says David Nieman, the director of the Human Performance Lab.
연구는 적당한 운동이 감기의 지속 기간이나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Research shows that moderate exercise has no effect on the duration or severity of the common cold.
만약 여러분이 독감이나 다른 형태의 열을 일으키는 전신감염에 걸렸다면, 운동은 회복을 늦추고, 따라서 좋지 않은 방안이다.
If you have the flu or other forms of fevercausing systemic infections, exercise can slow recovery and, therefore, is a bad idea.
여러분의 면역 체계는 그 감염을 물리치기 위해서 시간을 넘겨서 일하고 있으며, 신체적 스트레스의 한 형태인 운동은 그 과업을 더 어렵게 만든다.
Your immune system is working overtime to fight off the infection, and exercise, a form of physical stress, makes that task harder.
---------------------------------------------------------------------------------------------------------
20번.
Sometimes, you feel the need to avoid something that will lead to success out of discomfort.
가끔씩은 당신은 불편하기 때문에 성공으로 이끌어 줄 무언가를 피할 필요가 있다고 느낀다.
Maybe you are avoiding extra work because you are tired.
아마도 당신은 피곤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일을 피하고 있다.
You are actively shutting out success because you want to avoid being uncomfortable.
당신은 불편한 것을 피하고 싶어서 적극적으로 성공을 차단하고 있다.
Therefore, overcoming your instinct to avoid uncomfortable things at first is essential.
따라서 처음에는 불편한 것을 피하고자 하는 당신의 본능을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Try doing new things outside of your comfort zone.
편안함을 주는 곳을 벗어나서 새로운 일을 시도하라.
Change is always uncomfortable, but it is key to doing things differently in order to find that magical formula for success.
변화는 항상 불편하지만, 성공을 위한 마법의 공식을 찾기 위해서 그것(변화)은 일을 색다르게 하는 데 있어 핵심이다.
-------------------------------------------------------------------------------------------------------
21번.
우리는 사건을 선택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We have a tendency to interpret events selectively.
만약 우리가 일이 “이렇게” 또는 “그렇게” 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틀림없이 그러한 관점을 뒷받침하는 방식으로 증거를 선택하거나 쌓거나 배열할 수 있다.
If we want things to be “this way” or “that way” we can most certainly select, stack, or arrange evidence in a way that supports such a viewpoint.
선택적인 지각은 우리에게 두드러져 보이는 것에 기반을 둔다.
Selective perception is based on what seems to us to stand out.
그러나 우리에게 두드러져 보이고 있는 것은 우리의 목표, 관심사, 기대, 과거의 경험 또는 상황에 대한 현재의 요구와 매우 관련 있을지도 모른다—“망치를 손에 들고 있으면, 모든 것은 못처럼 보인다.”
However, what seems to us to be standing out may very well be related to our goals, interests, expectations, past experiences, or current demands of the situation—“with a hammer in hand, everything looks like a nail.”
이 인용문은 선택적 지각의 현상을 강조한다.
This quote highlights the phenomenon of selective perception.
만약 우리가 망치를 사용하기를 원하면, 우리 주변의 세상은 못으로 가득 찬 것처럼 보이기 시작할지도 모른다!
If we want to use a hammer, then the world around us may begin to look as though it is full of nails!
-------------------------------------------------------------------------------------------------------
22번.
학생이 미래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하고 싶은 바람에서 낮은 등급이나 점수로 학생을 벌주려고 하기보다는, 그들의 과제가 미완성이라고 여기고 추가적인 노력을 요구함으로써 교사는 학생에게 동기 부여를 더 잘할 수 있다.
Rather than attempting to punish students with a low grade or mark in the hope it will encourage them to give greater effort in the future, teachers can better motivate students by considering their work as incomplete and then requiring additional effort.
Ohio주 Beachwood의 Beachwood 중학교 교사는 학생의 등급을 A, B, C 또는 I(미완성)로 기록한다.
Teachers at Beachwood Middle School in Beachwood, Ohio, record students’ grades as A, B, C, or I(Incomplete).
I등급을 받은 학생은 자신의 과제 수행을 수용 가능한(기준에 맞는) 수준까지 끌어올리기 위해서 추가적인 과제를 하도록 요구받는다.
Students who receive an I grade are required to do additional work in order to bring their performance up to an acceptable level.
이런 방침은 학생이 낙제 수준으로 수행하거나 낙제 과제를 제출하는 것이 대체로 교사가 그것을 받아들이기 때문이라는 믿음에 근거한다.
This policy is based on the belief that students perform at a failure level or submit failing work in large part because teachers accept it.
Beachwood의 교사는 만약 그들이 더 이상 기준 이하의 과제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학생이 그것을 제출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Beachwood teachers reason that if they no longer accept substandard work, students will not submit it.
그리고 학생들은 적절한 도움을 받아서 자신의 과제 수행이 만족스러울 때까지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그들은 믿는다.
And with appropriate support, they believe students will continue to work until their performance is satisfactory.
-------------------------------------------------------------------------------------------------------
23번.
호기심은 우리로 하여금 어려운 문제를 맡아야 할 흥미로운 도전으로 더 여기게 한다.
Curiosity makes us much more likely to view a tough problem as an interesting challenge to take on.
스트레스를 받는 상사와의 회의는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된다. 긴장이 되는 첫 데이트는 새로운 사람과의 멋진 밤이 된다. 주방용 체는 모자가 된다.
A stressful meeting with our boss becomes an opportunity to learn. A nervous first date becomes an exciting night out with a new person. A colander becomes a hat.
일반적으로, 호기심은 우리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을 위협보다는 도전으로 여기게 하고, 어려움을 터놓고 말하게 하고, 문제 해결에 있어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도록 동기를 부여해 준다.
In general, curiosity motivates us to view stressful situations as challenges rather than threats, to talk about difficulties more openly, and to try new approaches to solving problems.
실제로 호기심은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적인 반응이 줄어들고, 그 결과 짜증에 반응할 때 공격성이 줄어드는 것과 관련이 있다.
In fact, curiosity is associated with a less defensive reaction to stress and, as a result, less aggression when we respond to irritation.
-----------------------------------------------------------------------------------------
24번.
사람들은 도시 발전에 대해 생각할 때, 수직 운송 수단의 중요한 역할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
When people think about the development of cities, rarely do they consider the critical role of vertical transportation.
실제로 매일 70억 회 이상의 엘리베이터 이동이 전 세계 높은 빌딩에서 이루어진다.
In fact, each day, more than 7 billion elevator journeys are taken in tall buildings all over the world.
효율적인 수직 운송 수단은 점점 더 높은 고층 건물을 만들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을 확장시킬 수 있다.
Efficient vertical transportation can expand our ability to build taller and taller skyscrapers.
Illinois 공과대학의 건축학과 교수인 Antony Wood는 지난 20년 간의 엘리베이터의 발전은 아마도 우리가 높은 건물에서 봐 왔던 가장 큰 발전이라고 설명한다.
Antony Wood, a Professor of Architecture at the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explains that advances in elevators over the past 20 years are probably the greatest advances we have seen in tall buildings.
예를 들어, 건설 중인 사우디 아라비아 Jeddah의 Jeddah Tower에 있는 엘리베이터는 660미터라는 기록적인 높이에 이를 것이다.
For example, elevators in the Jeddah Tower in Jeddah, Saudi Arabia, under construction, will reach a height record of 660m.
--------------------------------------------------------------------------------------------------------------------------
25번.
당신이 미소를 관찰했는데 그것이 진짜가 아니라고 느낄 수 있는 경우가 있었다.
There have been occasions in which you have observed a smile and you could sense it was not genuine.
진짜 미소와 진실하지 못한 미소를 알아보는 가장 명확한 방법은 가짜 미소는 주로 입에만, 얼굴의 절반 아래쪽 부분에만, 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The most obvious way of identifying a genuine smile from an insincere one is that a fake smile primarily only affects the lower half of the face, mainly with the mouth alone.
눈은 실제 관련이 없다. 거울을 볼 기회를 잡아서 당신의 얼굴 아랫부분만을 사용하여 미소를 지어봐라.
The eyes don’t really get involved. Take the opportunity to look in the mirror and manufacture a smile using the lower half your face only.
당신이 이렇게 할 때, 당신의 얼굴이 실제로 얼마나 행복해 보이는지를 판단해 봐라. 그것은 진짜인가?
When you do this, judge how happy your face really looks—is it genuine?
진짜 미소는 눈가 근육과 주름에 영향을 주며, 티가 덜 나게 눈썹과 윗눈꺼풀 사이의 피부가 진정한 즐거움으로 살짝 내려오는 것이다. 진짜 미소는 얼굴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A genuine smile will impact on the muscles and wrinkles around the eyes and less noticeably, the skin between the eyebrow and upper eyelid is lowered slightly with true enjoyment. The genuine smile can impact on the entire face.
---------------------------------------------------------------------------------------------------------
26번.
지난 20년 혹은 30년 동안의 상세한 연구는 자연계의 복잡한 형태가 그것의 기능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Detailed study over the past two or three decades is showing that the complex forms of natural systems are essential to their functioning.
강을 직선화하고 규칙적인 횡단면으로 만들고자 하는 시도는 아마도 이러한 형태기능 관계의 가장 막심한 피해 사례가 될 수 있다.
The attempt to straighten rivers and give them regular crosssections is perhaps the most disastrous example of this formandfunction relationship.
자연 발생적인 강은 매우 불규칙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많이 굽이치고, 범람원을 가로질러 넘쳐 흐르고, 습지로 스며들어가서 끊임없이 변화하여, 엄청나게 복잡한 강가를 만든다.
The natural river has a very irregular form: it curves a lot, spills across floodplains, and leaks into wetlands, giving it an everchanging and incredibly complex shoreline.
이것은 강의 수위와 속도 변화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This allows the river to accommodate variations in water level and speed.
강을 질서정연한 기하학적 형태에 맞춰 넣는 것은 기능적 수용 능력을 파괴하고 1927년과 1993년의 Mississippi강의 홍수와, 더 최근에는, 허리케인 Katrina와 같은 비정상적인 재난을 초래한다.
Pushing the river into tidy geometry destroys functional capacity and results in disasters like the Mississippi floods of 1927 and 1993 and, more recently, the unnatural disaster of Hurricane Katrina.
Louisiana에서 “강을 자유롭게 흐르도록 두라.(let the river loose.)”라는 500억 달러 계획은 통제된 Mississippi강이 매년 그 주의 24제곱마일을 유실시키고 있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다.
A $50 billion plan to “let the river loose” in Louisiana recognizes that the controlled Mississippi is washing away twentyfour square miles of that state annually.
-------------------------------------------------------------------------------------------------------
27번.
당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가질 수 있다고 믿는 문화에서는 선택은 문제가 안 된다. 그러나 많은 문화들은 이러한 믿음을 유지하지 못한다.
In a culture where there is a belief that you can have anything you truly want, there is no problem in choosing. Many cultures, however, do not maintain this belief.
사실, 많은 사람들은 삶이란 당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이라고 믿지 않는다. 인생은 당신이 해야 할 것을 하는 것이다.
In fact, many people do not believe that life is about getting what you want. Life is about doing what you are supposed to do.
그들이 선택을 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그들이 원하는 것이 그들이 해야 할 일과 관련이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The reason they have trouble making choices is they believe that what they may want is not related to what they are supposed to do.
외적으로 고려할 문제의 비중이 그들의 욕망보다 더 크다. 이것이 어떤 집단에서 논의 대상이 될 때, 우리는 좋은 결정을 내리려고 의논을 한다.
The weight of outside considerations is greater than their desires. When this is an issue in a group, we discuss what makes for good decisions.
만약 어떤 사람이 걱정과 의무로부터 벗어나 그들에게 호소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잠시 동안 생각해 본다면, 그들은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한지를 가려낼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If a person can be unburdened from their cares and duties and, just for a moment, consider what appeals to them, they get the chance to sort out what is important to them.
그리고 나서 그들은 외적인 부담에 대해 고려하고 협상할 수 있다.
Then they can consider and negotiate with their external pressures.
---------------------------------------------------------------------------------------------------------
28번.
운동 선수는 선수가 아닌 사람들보다 받아들여지지 않는 행동을 덜 할 것이라고 연구는 확인했다.
Research has confirmed that athletes a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unacceptable behavior than are nonathletes.
그러나 부분적으로 승리에 대한 강조가 커지기 때문에 운동 선수가 더 높은 경쟁적 수준까지 올라감에 따라서 도덕적 분별력과 바람직한 스포츠 행위가 감소하는 것 같다.
However, moral reasoning and good sporting behavior seem to decline as athletes progress to higher competitive levels, in part because of the increased emphasis on winning.
그래서 승리라는 것은 인성 함양을 가르치는 데 있어서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
Thus winning can be a doubleedged sword in teaching character development.
어떤 선수는 너무나 이기려고 하다 보니 그 결과 거짓말하고 속이고 팀 규칙을 위반한다.
Some athletes may want to win so much that they lie, cheat, and break team rules.
그들은 단시간에 이기고자 자신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인격 특성을 계발할지 모른다.
They may develop undesirable character traits that can enhance their ability to win in the short term.
그러나 선수가 부정한 방법으로 이기고자 하는 유혹에 저항할 때 그들은 일생동안 지속되는 긍정적인 인격 특성을 계발할 수 있다.
However, when athletes resist the temptation to win in a dishonest way, they can develop positive character traits that last a lifetime.
인성이라는 것은 학습되는 행동이며 그러한 교훈을 체계적으로 가르치고자 계획할 때만 페어 플레이 정신은 발달한다.
Character is a learned behavior, and a sense of fair play develops only if coaches plan to teach those lessons systematically.
'School English > High sch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비고 1반 가정법 추가 보충문제 (0) | 2022.01.11 |
---|---|
2021학년도 서인천고 1학년 2학기 중간고사대비 모의고사 한줄해석(1-25번) 계속 업데이트중.. (0) | 2021.10.05 |
서인천고1 영어 6과 단어 (0) | 2021.09.06 |
서인천고1 2021년 1학기기말고사 듣기대비 (0) | 2021.06.16 |
고1 지학사(민) 영어, 5과 본문 및 해석 (0) | 2021.06.11 |